행복한 일상나들이/책향기

초한지 - 이문열

윤주빠 2009. 3. 20. 12:59

초한지 전10권 세트

 

책소개

유방과 한우의 삶에 초점을 맞추어 영웅의 삶을 꿈꾸며 파란만장한 인생을 살다간 풍운아들의 일대기를 그린 『초한지』 전 10권 완간 세트.

단 한번의 승리로 천하를 얻은 한 고조 유방, 단 한 번의 패배로 모든 것을 잃은 초패왕 항우. 이 책은 유방과 항우가 태어난 무렵인 전국시대 말기부터 시작하여 진시황제와 2세 황제 호해의 통일 진나라 시대를 걸쳐 통일 진나라가 멸망하고 항우가 패왕이 되는 과정, 그리고 이에 승복하지 못한 유방이 반발하여 항우에 맞서 싸워 끝내 천하를 재통일하는 과정을 생생히 보여주고 있다. 기원전 218년 장량이 시황제의 암살을 기도하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항우가 자살하는 기원전 197년까지 진말한초(秦末漢初) 20년간의 이야기를 담았다.

『초한지』는 천하의 패권을 겨룬 두 영웅과 그들을 중심으로 모여든 난세의 호걸들이 야망과 음모, 충성과 변절을 거듭하며 초한(楚漢) 쟁패의 주인공이 되어 가는 과정을 그렸다. 우리 시대 대표작가 이문열은 그들의 숨막히는 접전을 통해 동양적 리더십의 원형과 그 진수를 제시하고 있다.

저자 소개

작가파일보기 저 : 이문열

李文烈 1948년 경북 영양 출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수학. 197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중편 『새하곡』으로 등단. 장편소설 『젊은날의 초상』『영웅시대』『시인』『오디세이아 서울』『황제를 위하여』『선택』등 다수가 있고, 중단편소설로 『이문열 중단편 전집』(전5권), 산문집 『사색』『시대와의 불화』, 대하소설 『변경』『대륙의 한』이 있으며, 평역소설로 『삼국지』『수호지』를 선보였다. <오늘의 작가상><동인문학상><이상문학상><현대문학상><호암예술상> 등을 수상하였다.

순탄치 않은 어린 시절을 보내고 중고등학교 중퇴 후 검정고시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 입학, 다시 사법고시를 준비하는 등의 굴곡 많은 인생을 살아온 그의 창작에 대한 열정은 남다르다. [대구매일신문]에 [나자레를 아십니까]가 가작으로 뽑힐 때까지 이문열은 많은 좌절을 경험한다. 초등학교를 제외하고는 서울대 사범대까지 모두 중도에 포기했으며, 신춘문예, 사법고시 등에서 연이어 실패를 맛 보았다. 77년에 등단하고 이듬해 [사람의 아들]로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1994년 학문 연구의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교수제의를 받아들여 세종대 강단에 섰으나 3년만에 개인적인 이상실현의 문제와 작가로서 충분히 작품 세계를 이룩할 시간적 여유가 부족해지는 것을 우려, '창작전념'을 위함이라며 교수직을 사임했다.

현재는 조각가 친구의 권유로 경기도 이천에 땅을 구입하여 작업실을 마련했고, 그곳에 인문학적 교양을 쌓고 깊은 학문 연구를 할 수 있는 조그만 자리를 젊은 친구들에게 마련해주고자 뒷동산 부아악負兒岳이라는 산 이름을 따와 <부악문원>을 설립하여 새로운 지식의 샘을 젊은 학도들과 함께 탐구하려는 열정을 보이고 있다.

2000년 5월 이문열의 책 판매량이 2천만 권을 넘어섰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 가운데 삼국지, 수호지 평역을 제외한 순수 창작물의 판매량이 천만 권 이상이라니, 한국인 4명에 한 명은 그의 소설책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각종 문학상 수상작품집 등을 따지면 그의 글을 집에 가지고 있지 않은 한국인은 없다고 해도 무리한 주장은 아니다. 하지만, 이런 상업적 성공은 이문열을 이해하는 단서 가운데 작은 하나일 뿐이다.

이문열의 작품 세계엔 그의 경험이 고스란이 담겨 있다. 월북한 아버지로 인한 좌절, 전통적인 가풍의 집안은 그의 경험이며, 동시에 그의 소설에서 쉽사리 읽어낼 수 있는 특징이다. <사람의 아들>, <황제를 위하여>, <금시조>, <선택> 등의 책은 이런 특징을 그대로 담고 있다. 중요한 것은 그의 경험이 한국 현대가 겪고 있는 현실과 맞닿아 있다는 것이다. 그가 거듭 묻는 질문, 전통과 현대의 문제, 분단 상황의 문제 등은 바로 그의 경험에서 나온 것들이며 한국사회가 피할 수 없는 질문들이다.

이 질문들에 대한 이문열의 대답은 보수적이고 전통지향적인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선 수구주의나 남성우월주의로 비판받기도 했다. <선택>을 둘러싼 논쟁이나, 총선연대 활동이나, 언론개혁을 둘러싼 논쟁이 그것이다. 이문열이 자신의 소설에 담고 있는 주장이 무엇이든 그가 소설을 통해, 또는 소설 속에서 던지는 질문이 한국 사회가 해결해야 할, 바로 그 문제라는 것은 확실하다.
닫기

목차

1권
글머리에
序章 황제(黃帝)의 세계
젊은 자객
새로운 제국(帝國)
유가(劉哥)네 막내
기화(奇貨)와 기술(奇術)
귀곡(鬼谷)의 나그네
엎드린 호랑이
회음(淮陰)을 떠나며
때를 기다리는 사내들

2권
사상(泗上) 정장(亭長)
사구(沙丘)에 지는 해
망명(亡命)
이세(二世) 황제
대택(大澤)의 회오리
강동(江東)에서 이는 구름
패공(沛公) 일어나다
권력의 그늘
함양에서 불어온 역풍(逆風)
상처와 기연(奇緣)

3권
호랑이, 숲을 나서다
강회(江淮)를 건너서
그들의 만남
함께 가는 길
어떤 끔찍한 종말
무신군(武信君)은 죽고
송의(宋義)를 베고 솥과 시루를 깨다
거록(鋸鹿)의 혈전
더해지는 깃과 날개

4권
관중(關中)으로
사슴이 말이 되다
무너지는 제국
패상(覇上)의 진인(眞人)
20만을 땅에 묻고
석 줄만 남은 법(法)
긴박한 전야(前夜)
홍문(鴻門)의 잔치
갓 쓴 원숭이
한왕(漢王)이 되어

5권
산동(山東)의 맞바람
대장군 한신(韓信)
대쪽을 쪼개듯
팽성(彭城)에 깃드는 어둠
펼침과 움츠림
중원(中原)의 사슴을 쫓아
수렁
팽성으로
... 펼처보기

출판사 리뷰

자신을 비워 세상을 담아낸 큰 그릇, 한고조 유방
힘은 산을 뽑고 기세는 천하를 뒤덮은 영웅, 초패왕 항우
중국 대륙의 패권을 겨룬 두 영웅호걸의 이야기가 거장 이문열의 소설로 새롭게 태어난다!


단 한 번의 승리로 천하를 얻은 유방, 단 한 번의 패배로 모든 것을 잃은 항우. 극명하게 대비되는 지략과 용인술로 난세를 헤쳐 가는 두 영웅의 활약상이 광활한 대륙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작가 이문열은 그들의 숨 막히는 접전을 통해 동양적 리더십의 원형과 그 진수를 제시하고 있다.

■ 『사기』를 원전으로 완전히 새로 쓴 이문열 『초한지』

1700만 부 판매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최고의 베스트&스테디셀러로 자리 매김한 『삼국지』, 그리고 『수호지』에 이어, 작가 이문열이 『초한지』를 단행본으로 내놓았다. 이 작품은 기원전 218년 장량이 시황제의 암살을 기도하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항우가 자결함으로써 한(漢) 고조 유방이 다시 천하를 통일하는 기원전 202년까지의 내용을 주로 다루었으며, 이후 효문제가 한나라의 황권을 굳건히 하기까지 진말한초(秦末漢初) 30여 년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초한지』는 『삼국지』, 『수호지』와는 달리 원전이 존재하지 않는다. ‘초한지’라는 제목은 명나라 시대의 종산거사(終山居士)라는 이가 쓴 『서한연의』를 우리말로 번역해 붙인 이름이지만, 『서한연의』는 사실(史實)을 지나치게 뒤틀고 엇바꾸어 원전으로 삼을 수 없었다고 작가는 ‘글머리에’에서 밝혔다. 이에 작가는 『사기』를 원전으로 하고 『자치통감』과 『한서(漢書)』를 보조 자료로 삼아 『초한지』를 완전히 새로 썼다. 『사기』를 원전으로 한 까닭에, 나관중의 『삼국지』에서 빌려 온 상상력에 의존한 듯 보이는 다른 『초한지』 작가들의 과오를 피했으며, 또한 ‘칠 푼의 진실과 서 푼의 허구’라는 연의의 본령을 준수하여 역사적 사실에 어긋나지 않으면서도 소설적 재미를 최대한 살렸다.

■ 진말한초(秦末漢初), 천하의 패권을 겨룬 두 영웅이 있었다!

“왕후장상의 씨가 어찌 따로 있겠느냐?”
“저 자리라면 내가 빼앗아 차지할 만하구나.”
우연히 시황제의 천하 순수(巡狩)를 목격한 유방과 항우는 각각 이런 말로 천하 경영의 꿈을 드러낸다. 그러나 두 영웅이 대륙을 차지할 때까지 보여주는 지략과 용인술에는 극명한 차이가 있다.
어수룩하고 무능해 보이지만 오히려 그로 인해 훌륭한 책사를 자기 사람으로 만들고 천하를 얻어냈던 유방과, 3백 근짜리 무쇠 솥을 한 손으로 내던질 만큼 기세는 대단했지만 오만해서 실패했던 항우라는 두 인물의 대조적인 모습은 이 책이 주는 가장 큰 흥미로운 포인트다.
또한 이 두 사람을 중심으로 모여든 난세의 호걸들이 야망과 음모, 충성과 변절을 거듭하며 초한(楚漢) 쟁패의 주인공이 되어 가는 과정은 인생이라는 전쟁에 대해, 그리고 진정한 리더십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